방금까지 잘 사용했던 에어팟 맥스가 갑자기 연결이 안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애플 고객지원센터에서 이야기하는 것 외에도 알려진 것이 있어 에어팟 맥스 연결 안됨 증상을 해결 할수 있는 모든 방법을 소개해드려고 합니다. 페어링 연결이 안되신다면 하나씩 해보시기 바랍니다.

에어팟 맥스 연결 안됨 해결 방법
에어팟 맥스 페어링 연결이 안 될 때 우선적으로 애플 공식 고객지원센터에서 안내해 주는 방법을 우선적으로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이 방법으로 해결이 되기 때문에 꼭 먼저 해보시기 바랍니다. 또 해당 방법을 해보시기 전에 먼저 핸드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버전이 최신인지 먼저 확인하셔야 합니다.
1. 에어팟 맥스 재부팅 하기.

에어팟 맥스를 재부팅을 진행하기 전에 맥스의 배터리를 50% 이상 충전한 이후 재부팅을 하셔야 합니다. 재부팅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요. 맥스 오른쪽에 소음 제어 버튼과 크라운을 아래의 LED가 노란색으로 깜빡일 때까지 길게 누르면 됩니다.
2. 에어팟 맥스 재설정 하기.
재부팅과 마찬가지로 재설정도 맥스의 배터리를 50% 이상 충전한 이후 재설정을 하셔야 하는데요. 맥스를 재부팅을 해도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재설정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재설정 방법도 재부팅 방법과 동일합니다. 맥스 오른쪽에 소음 제어 버튼과 크라운을 15초 이상 길게 눌러주시면 됩니다. 재부팅 방법과 다른 점은 LED가 노란색으로 깜빡이다가 흰색으로 깜빡일 때까지 길게 눌러주셔야 합니다.
3. 수동 페어링 하기.

수동으로 페어링을 하는 방법은 핸드폰에서 설정 > 블루투스에서 에어팟 맥스를 기기 지우기를 선택해 목록에서 기기를 삭제하신 다음 상태 표시등이 흰색으로 깜박일 때까지 소음 제어 버튼을 길게 눌러주시면 됩니다.
- 내용 출처: 애플 고객지원
그 외 연결 방법
지금 알려드리는 연결 방법은 일종의 민간요법으로 정확하게 왜 연결이 되는지는 모르지만 실제로 이 방법으로 연결이 된 후기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위의 3개의 방법으로도 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한번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충전 단자 연결 후 해제.
이 방법은 c 타입 충전 단자가 적용된 에어팟 맥스 2세대에는 해당되지 않는데요. 아직 2세대가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정보가 없는 것일 수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8핀 충전 단자가 적용된 에어팟 맥스 1세대에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방법은 단순하게 충전 단자를 연결했다가 상태 표시등에 불이 들어오면 충전 단자를 빼고 연결하는 것인데요. 이 방법으로도 연결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2. 이어 패드 좌우 교체.

두 번째 민간요법은 양쪽 이어 패드를 바꿔끼우는 것인데요. 오른쪽(R) 이어 패드와 왼쪽(L) 이어 패드를 분리시켜 좌우를 바꾸면 연결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로 왜 연결이 되는지 알 수 없지만, 연결이 되지 않는 에어팟 맥스를 이 방법으로 연결해 본 경험이 있습니다.
3. 냉각 시키기.
마지막으로 해볼 수 있는 방법은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넣어 30분 정도 냉각시키는 방법입니다. 뜬금없지만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이 방법으로 해결되었다는 후기가 굉장히 많습니다.
후기를 보면 양쪽 헤드셋을 이어주는 플렉스 케이블이 손상이 되어 페어링 연결이 안 되는 것이고,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넣어 냉각시키면 케이블이 수축해서 손상이 해결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냉장고나 냉동고에 넣었을 때 다른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하니, 가장 마지막에 해볼 수 있는 최후의 방법인 것 같습니다.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맥스를 넣을 때 습기 방지를 위해 지퍼팩에 넣고 냉각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에어팟 맥스의 재부팅과 재설정은 뭐가 다른 건가요?
A. 재부팅은 에어팟 맥스를 껐다가 다시 켜는 것이며, 재설정은 공장 초기화하여 모든 연결 기록을 삭제하는 것입니다. 재부팅으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재설정을 시도해보세요.
Q. 에어팟 맥스를 냉장고나 냉동고에 넣어도 괜찮나요?
A.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넣는 방법은 비공식적인 해결책입니다. 기기에 손상을 줄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은 최후의 수단으로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